경기체가 중에서 최초의 작품인 은 남다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여타의 갈래와는 달리 후대에 창작되는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본고는 우선 ... >과 유사한 표현구를 지닌 경기체가 작품을 주목하고, 후대 경기체가의 변모양상을 살폈다. 에서 출발한 ‘찬탄과 찬미의 주제성’은 경기체가 전반의 갈래적 속성으로 발전 ... .경기체가는 300-400년 동안 장르를 지속하면서도, 대체로 이 마련한 도락적․유락적 풍류를 계승하고 있었으며, 도락적 풍류는 도학적 풍류로 변모하고, 유락적 풍류
Ⅰ. 경기체가(景幾體歌)의 개념과 명칭고려 고종 때부터 발생하여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계속된 한림별곡체(翰林別曲體)의 시가 형태. 고려 중엽 이후 무신(武臣)들이 집권 ... 에 붙여진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는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 하기도 한다.{) 김학성, 경기체가 ,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Ⅱ.한림별곡(翰林別曲)고려 고종 때 ... 의 집권과 잦은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시달리던 때였지만 귀족들의 생활은 문운(文運)의 난숙기(爛熟期)로 호화의 극치를 달렸다.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한림별곡은 그들의 유흥과 퇴폐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