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주제 :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설명하고 이 중에서 다른 언어를 모국어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이어려워할 만한 것을 제시해 보자.작 성 자 : 홍 길 ... 동목 차Ⅰ. 서론Ⅱ.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체계1. 자음의 체계1) 자음의 체계2) 모음의 체계① 단모음 분류체계② 이중모음 분류체계2. 외국인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1) 중국어 ... +서술어 형식을 띠고 있다. 음운은 자음 19개와 모음 21개로 총 40개를 가지고 있다.최근 한류 붐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많이 증가를 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
이 되고, 종성은 초성이 된다.자음 중에 음절 제일 앞에 오는 첫 자음 즉〈초성〉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해결됐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음절 말에도 자음이 온다. 이것이〈종성〉이다. 그럼? ... 은 내 무지를 깨우치고 한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다.본론1, ‘단음문자’로서의 정음정음학은 음절을 이와 같이〈자음+모음+자음〉으로 분절하였다. 이는 음의 평면 ... 에서의 이야기인데,〈정음〉의 창제자들은 음의 평면뿐만 아니라 문자의 평면에서도 이들 각각에 게슈탈트(형태) 를 부여해 문자를 만들어 나갔다.중국 음운학에서도 음절 첫 자음,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