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 뒤 유악이 [철문세귀]를 펴낸 것을 주목할 만하다. 특징은 예리 한 칼나로 거북껍질이나 짐승 뼈에 새겼기 때문에 필획이 단순하며 직선적이다. 또한 소박하고 고대인다운 미 ... 의 탁본에 29자가 남아 있었으나 원석은 청조때의 화재로 파손되어 현재는 그 패석에 겨우 10 여자가 보일 뿐이다. 이사의 글이라 전한다.6)낭야대각석진시황 28년에 진시황은 동해 연안 ... 의 필획은 대부분 예서로부터 변화되어 나왔기 때문에 해서를 금예라고 부르기도 한다. 크게 남북조 시대의 해서와 당시대의 해서로 나뉜다.◎ 위, 진, 남북조시대이 시대에 이르
서 깊이나 넓이가 일정한 데 비하여, 후자는 새김이 불규칙하고 깊이도 일정하지 않으며 심지어 부호를 새기다가 파손된 흔적도 있다고 한다. 부호를 새긴 공구로는 대(竹), 나무 또는 ... 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을만큼 이전의 서체에 비해 간소화되었습니다. 간소화 시키는 과정에서 비슷한 필획이면 통괄하여 동일한 필획으로 정리했으므로 한자의 상형적인 요소가 많이 사라졌
에는 29자만 남아 있었고, 청조 때는 화재로 파손되어 그 패석에 겨우 10여자가 보일 뿐이었다.3)낭 아 대 각 석 (瑯 牙 臺 刻 石) : 진시황제는 태산각석을 세운 해에 산동의 낭 ... 이 명랑하며 곧아서 태도가 준 수하다고 말해진다. 따라서 예기비에 대한 감상은 필획의 선조를 통해 그 신정과 골격,모양,자태를 터득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 다.3)사 신 비 (史 晨 ... ,굵기를 모르는 단순한 선이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 충분히 뻗은 점획,자유롭고 메이지 않 은 결체에 그 참맛이 있다. 필획의 기필과 수필이 곧바로 이루어지고 전절(轉折)이 항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