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론제인오스틴(Jane Austen)의 『맨스필드 파크』(Mansefield Park, 1814) 작품을 보면 여주인공 패니프라이스(Fanny Price)를 여성론적 관점 ... 에서 분석하고있다. 반여성해방적이라고 비판받아온 여주인공 패니를 평가함에 있어 패니의 말 못하는 의사가 몸의 증상으로 표시됨을 통하여 당대 여성상 및 여성의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 ... 었으며 패니가 보이는 도덕적인 확고함과 주체성에 주목하여 여성행동 지침서에 나오는 예의바른 숙녀처럼 보이지만 온갖 위험과 비난을 무릅쓰고 자신의 의사를 표명할 뿐 더러 자신의 의지
(Willam Blake), 리차드 프라이스(Richard Price) 등과 교류하게 되었다. 그녀는 이들을 만나면서 당시 계몽주의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게 된다.1789년 ... (Gilbert Imlay)를 만나 깊은 교제를 맺고 아이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울스톤크래프트가 딸 패니(Fanny Imlay)를 낳은 후 임레이는 가정을 버리고 가출했고 절망한 그녀 ... 프라이스가 프랑스혁명을 지지하면서《조국애론(Discourse on the Love of our Country), 1789》을 발표하자 1790년 애드먼드 버크(Edmund Bur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