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반영한다.그런데 칼레츠키는 거시적 수준에서 투자와 이윤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있을 뿐, 이상에서와 같이 투자와 이윤 사이의 관계를 미시적 수준에서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이 ... 은 칼레츠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칼레츠키는 제조업부문에서 독점이 지배적이며, 그러한 부문에서는 수요가 아니라 비용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고 보고 비용-가격결정이론을 전개 ... 에 Eichner를 시작으로 하는 이후의 연구는 칼레츠키가 고려하지 못했던 미시적 측면에서의 투자-이윤관계에 주목하여 칼레츠키의 이론을 본격적으로 개선?발전시키고 있다.이들은 우선
는 은행의 의도가 바로 신용할당 및 담보를 중시하는 대출행태를 야기하는 것이다Ⅲ. 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의 가격이론포스트케인지안의 가격이론은 칼레츠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칼레츠키 ... 된다. 이때 마크업의 결정은 생산물 시장에서의 독점도나 노동조합의 세력, 즉 생산물시장의 구조와 분배측면에서의 노동자와 자본가간의 투쟁을 반영한다.그런데 칼레츠키는 거시적 수준 ... 안의 가격이론으로서 칼레츠키가 상정했던 독점도나 계급간 갈등을 ‘전제’로 장래의 투자지출이 현재의 목표이윤을 통해서 마크업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기로 한다.가격결정
정책이 경기변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 거시경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Ⅱ. 경기변동의 개념경기변동이란 GDP, 소비, 투자, 고용, 수출, 수입 등과 같은 거시경제변수 ... 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족될 수 있다.칼레츠키는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는 투자함수를 핵심적인 요소로 하여 경기변동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는 고정자본투자수요를 총저축의 수준과 총이윤의 변화 ... 으로서의 통화경로와 대출경로를 명시적으로 구별한 IS-LM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론모형의 개발과 더불어 ’90년대 초반에는 통화경로와 대출경로를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