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윤등이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칠성산96호 출토 등자는 목심철판피윤등에 해당된다.칠성산96호에서는 등자 뿐 아니라 재갈, 안교 등 고구려 초기 마구 자료가 다양하게 출토 ... 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삼국시대의 고분을 편년하는 방식의 연구에서 중요시되어 왔다. 그런 점에서 칠성산96호분의 연대는 논자에 따라 4세기 중반에서 5세기까지 견해차가 존재 ... 다. 실물로는 칠성산96호를 비롯해 그보다 시기가 앞서는 만보정 242-1호에서도 안교가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경식 안장은 등자의 사용이 확인되는 4세기 후엽 이전에 이미 사용
되었는데 그 하나는 평전장식(平天障式)으로 대표적인 분묘는 고력묘자촌 제 1호분, 칠성산 제96호분, 유수림대고력묘군 제47호분, 장군총, 태왕릉 등으로서 장군총은 잘 다듬은 화강석 ... 하고분군, 통구하 오른쪽 강가 및 산성산기슭의 만보정(萬寶丁)고분군, 통구 아래 유역의 칠성산(七星山)고분군, 마선하(?線河)유역의 마선구고분군이며 평양에서는 진남포(鎭南浦)에 이르 ... 밖뻗어서 연도를 이루었다. 그리고 남파동 제33호분은 길이 9미터, 너비8미터 되는 방형에 가까운 적석총인데, 2단까지는 잘 남아 있으나 그 위는 허물어져서 알 수 없고 제2방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