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武 李濟馬의 原人觀과 治人觀{東武 李濟馬의 原人觀과 治人觀1. 序論東武 李濟馬는 四象人의 四體質醫學을 통해 人間과 生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기존 韓醫學과는 다른 관점 ...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東武 李濟馬의 저서로 밝혀진 格致藁 , 東醫壽世保元 ,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 東武遺稿 등의 문헌을 통해 그의 原人觀과 治人觀을 고찰해 보 ... 에는 생물학적 동물로서의 인간 뿐만 아니라,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社會的, 政治的, 道德的 인간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의학관에도 이를 접목하여 原人觀과 治人觀을 정립하였다고 할 수 있
면서 마음 수양을 할 뿐, 과거 시험을 쳐서 벼슬살이를 하지 않겠다는 말이다. 그러나 과거 시험을 치고 벼슬에 나간 것을 보면 그 뜻을 어떻게 굳혔는지 모르겠다. 이 결심은 과시용이 ... 수 있다. 그는 주희가 《대학》과 《중용》을 표출시킨 의도를 계승하면서도 《대학》과 《중용》의 정신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양면으로 파악함으로써 도학의 통치원리를 선명 ... 을 하지 않으며, 또 거기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그가 거기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라기보다 그가 이미 성리학자들의 심관(心觀)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