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규정이 없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1) 원형 철근허용인장 및 압축응력또는 160MPa 이하전단보강철근의 허용인장응력또는 160MPa 이하(2) 이형 철근허용인장 및 압축응력또는 D25 이하의 철근에서는 220MPa 이하 ... 이하(5) 허용지압응력전 단면에 재하될 때 허용지압응력은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재하될 때는으로 한다. 이 식에서 A는 전단 면적,은 재하 면적을 나타낸다.단기하중에 의하여 철근
에 전단응력이 가해지면 그 값이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보다 작을 경우 콘크리트 자체의 전단저항에 의해지지 되지만 그 보다 큰 전단응력이 가해지면 균열발생 후 콘크리트 전단저항이 감소 ... 위해 균형철근비 이하로 설계하고, 전단 보강을 하여 부재가 초과하중을 받을 때 전단파괴 전에 휨파괴가 일어나도록 한다.집중하중을 받는 보는 전단경간비가 파괴 형태에 중요한 영향 ... 이 되는 변수 시험체는 인장측 철근과, 압축측 철근을 기준 시험체과 같게 배근해 연성파괴를 유도 하였으나 전단보강 스터럽을 배근하지 않아 휨파괴 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하
에 하중을 가했을 때 보에서 인장철근, 압축철근, 전단보강철근(스터럽)이 하는 역할을 관찰한다.4. 휨 파괴와 전단 파괴로 인한 하중-처짐, 하중-철근변형률, 하중-콘크리트 변형률 ... ×10 ^{12}③ 고찰OA점은 균열이 발생하기 전으로서 자중에 의한 처짐을 제외했다.(LVDT 가 0이므로) A점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하중을 제하시켜서 이때의 잔류 처짐 값을 확인 ... 을 비교 하였다. 비교한 결과 하중을 재하 시켰을 때I _{e}값은 작아졌고 다시 제하시키면I _{e}가 제하 전보다 약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