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사회 불평등이나 갈등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갈등론은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 의해 대두된 새로운 이론적 대안이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학교 교육이 인간의 삶 ... 을 풍요롭게 하고 있는가?’, ‘학교 교육이 사회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고 사회평등화를 도모하고 있는가?’, ‘학교 교육이 요구하는 사회적 질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등의 문제 ... 에 대해 교육에 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이에 1979년 일리치는 학교는 특정 엘리트 집단의 권력을 영속화시켜주고 기존 계층질서를 유지시켜 주는 도구라고 주장했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