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강조하여 결국 주자학적 방법론을고 회귀하게 된다. 이는 왕양명 心學의 이중성이 초래한 결과였다.4. 퇴계 이기호발론, 이이 기발이승일도론 비교四端七情論爭에서 퇴계는 理와 氣를 道德 ... 여 희망적인 의미를 준다)에 입각해 理氣의 一物說이나 二物說 모두 거부했다. 氣發理乘一道論은 四端과 七情을 모두 氣發로 규정했다. 기발은 마음의 작용으로서 이가 마음의 작용을 통해 발현 ... 으로 인한 제약이 따름을 인정하면서도 君子는 그러한 제약을 넘어서는 것이라 하여, 本性의 완전한 실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본능의 사실적 차원에서는 性으로 인정하면서도 당위적 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