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슨의 절충적 이모티비즘1. 스티븐슨의 기본입장영국 철학계에 지배적이었던 메타윤리학의 이론들은 미국 철학계에도 친숙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어느 정도 하버드 대학과 케임브리지 ... 대학에서 공부하였던 찰스 L. 스티븐슨의 저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스티븐슨은 (1937), (1938)를 비롯한 여러 편의 좋은 논문을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끌기 시작 ... 하였다. 그는 이미 여러 논문을 통하여 준비되어 온 독창성 있는 학설을 집대성 하여 1944년에《윤리학과 언어》(Ethics and Language)를 단행본으로 출간하였다.메타윤리학자
이모티비즘1. 서론이모티비즘의 출현은 현대 도덕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전 가운데 하나였다. 이모티비즘은 하나의 새로운 출발점을 제공하였다. 이모티비즘의 대변자들은 도덕철학 ... 의 오류였다. 그 이후에 이루어진 도덕철학상의 중요한 발전들, 예컨대 규정주의와 신자연주의 같은 이론들은 오직 이모티비즘이라는 배경막과 대조해서만이 이해될 수 있고, 설명될 수 있 ... 적, 객관적 토대를 갖는 것이 아니”라는 이른바 윤리학적 회의론을 태동시키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이 이모티비즘을 등장하는데 기여했다.3. 사상가와 저서3.1 카르납 (rudolf
논리실증주의와 이모티비즘1.논리실증주의와 이모티비즘이모티비즘(Emotivism)이란 윤리학이 하나의 학(science)으로 성립할 수 없다고 보는 입장으로서 논리실증주의 ... 에 관해서는 아무 것도 알려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2) 스티븐슨과 후기 이모티비즘미국의 미시건 대학교 철학교수인 스티븐슨(C. L. Stevenson, 1908~1979)은 예일대학 ... 적 의미”(The Emotive Meaning of Ethical Term, 1937)와 “설득적 정의”(Persuasive Definition, 1938)를 비롯한 많은 논문을 발표
-메타 윤리학-윤리 이론들의 지위에 관한 물음들을 이론화한 것을 보통 메타 윤리학이라고 한다. 이 장(章)에서는 윤리적 자연주의와 이모티비즘이라는 두 가지 메타 윤리이론들을 다루 ... 과 같은 것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잘못임을 지적한다. 이러한 반자연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으로 존 서얼은 그의 논문을 통해 약속하기 는 사실(말하는 행위)로부터 도덕의 영역(의무 ... 그들의 입장은 사회의 중심이 되는 가치들에 대한 도덕적 비판의 가능성을 열어놓지 않는 듯 하여 그 문제점을 드러낸다.이모티비즘(비인식설)은 모든 윤리적 언명은 사실상 무의미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