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서 왕이 된다는 것은 삼한(三韓)을 대대로 지키는 좋은 계책이 아니다.”라는 명나라에서 보내온 외교문서 때문이었다.역사학계에서는 우창비왕설은 이성계의 집권 시나리오에 불과하고 ’우왕 ... , 신돈의 개혁 정치에 대해 살펴보고, 공민왕과 신돈에 대한 고려사의 기록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신돈의 자식으로 간주되어 쫓겨나게 된 ‘우창비왕설’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과 창왕은 공민왕의 자손이 맞다‘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첫 번째는 우창비왕설이 처음 제기된 시점이다. 우창비왕설은 위에 언급했듯이 창왕이 쫓겨나게 된 계기가 된 명나라
로 조민수를 탄핵 ⊙ '김저의 옥'·'윤이·이초의 옥' 등의 사건으로 반이성계파들을 숙청함. ⊙ 소위 '우창비왕설'을 명분으로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옹립. ⊙ 고려왕조 유지론자의 마지막w} ... 과 최영의 집권⊙ 공민왕 사후(1374) 어린 우왕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한 이인임. → 정치개혁보다는 권력유지에 힘쓸 뿐이어서 고려사회의 정치·경제적 모순을 심화시킴.(1) 고려왕조 ... 다. 신돈 집권기에 많은 권신과 무장세력들이 숙청된 것에 비해 이인임은 신돈집권기에는 수시중으로, 그가 제거된 뒤에는 시중으로 계속 권력을 유지하였다. 이후 공민왕이 암살되자 우왕
-조선 왕조의 창업정당설폐가입진(가짜왕을 폐하고 진짜왕을 세우다)을 바탕으로 우왕과 창왕은 신돈의 아들이라고 내세워(우창비왕설) 조선 건국의 정당설 세움조준·윤소중·오사충등 급진 ... 이 여러 가지가 생겼었다.조선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하였으므로 그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공민왕을 비하하고 우창비왕설 까지 내세웠을 것이라는 것이다. 공민왕은 그의 애비 ... 된다.그리고 흔히 우리가 요승이라고 알고 있는 신돈은 정치적 피해자라고 생각된다. 우왕과 창왕이 신돈의 아들이라는 말이 전해지기도 하고 공민왕이 그를 좋아하고 그와 함께 많은 개혁
이 신돈의 자손이라 하여 뒷날 우창비왕설을 내세워 폐가입진의 명분 아래 창왕을 내쫓고 공양왕을 추대한 정변과도 간접적인 관련을 가지게 됨으로써 조선의 건국과정을 통하여 그의 집권 ... 는 신진문신세력이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공민왕의 개혁정치 전반과 관련하여 각별히 유의할 점이다.또한, 공민왕을 계승한 우왕과 그의 아들 창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