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 송상현에 대해서 같이 조사하였다.송상현(宋象賢)[1551~1592]은 10세 무렵에 경사(經史)에 통달하고, 15세에 승보시(陞補試)[매년 음력 10월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 ... 한 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8개월 전인 1591년(선조 24) 8월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 동래에 내려간 송상현은 성심과 신의로 백성을 다스리고 수령으로서의 직분을 다하며, 만약 ... 었다고 한다.1592년(선조 25) 4월 14일 부산진성을 함락시킨 왜군은 여세를 몰아 같은 날 오후 동래읍성으로 진격하였다. 문신으로서 칼 한번 잡아 본 적 없는 송상현은 개연히
西行長) 부대에 의해 부산진 첨사 정발(鄭撥, 1553∼1592)이 항전하다가 전사하고, 15일에는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1551~1592)이 동래성을 사수하다가 전사 ... 전란도’는 바로 이러한 시대 분위기 속에서 조선인들의 기억 속에 다시 나타났다.1592년 4월13일 일본군은 총 20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공했다. 4월14일 고니시 유키나가(小 ... 하였다. 당시 일본군 선발대는 ‘싸우려면 싸우되 싸우고 싶지 않으면 길을 비켜라(不戰則假我道)’는 나무 팻말을 세웠지만, 동래부사 송상현은 ‘싸워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비키기는 어렵다(戰死易
1551~1592)송상현은 자는 덕구(德求)요, 호는 천곡(泉谷)으로 본관은 여산이다.선조 3년(1570), 20세의 나이로 진사가 되고, 26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처음 승문원정자 ... 적 배경)나.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1551~1592)3. 맺음말4. 참고문헌머리말충렬사 :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임진왜란 때 부산에서 순절한 호국 선열 ... 송상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부산 충렬사에 관하여가. 충렬사와 임진왜란(시대적 배경)임진왜란이란 임진년(1592)년 일본의 침략으로 시작된 전쟁으로 그 후 1598년
가 넘쳐 온화했다면, 신독재 김집은 경으로 몸을 가꾸고 숙연하기가 흙으로 빚은 사람 같았다.)그는 소년기에 천곡 송상현(1551~1592)와 구봉 송익필(1534~1599)에게서 ... 문화의 사상적 바탕인 성리학과 예학이 부정적으로 평가되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식민사관의 극복과 더불어 근세사회론, 유교 긍정론이 등장하면서 조선 후기의 성리 ... 과정(한국 예학사禮學史)조선 후기 사상사에서 주목해야 할 흐름의 하나가 예학의 발전이다. 대개 임진왜란 이후부터 실학이 대두하기 이전 100여 년간을 ‘예학 시대’로 규정하는 것
들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현재 부산 유형문화재 제 7호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충렬공 송상현을 모시기 위해 1605년(선조 ... 38) 당시의 동래부사 윤훤이 동래읍성 남문 안의 농주산에 송공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를 지어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이 그 시초이다.송상현공은 1551년 (명종6년) 에 출생, 15세 ... 을 추배하고 임진란 때 송상현 공과 정발 장군을 따라 순절한 금섬과 애향을 위해 충렬사 동문 밖에 사당을 세웠다.그리고 1864(고종2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안락서원은 임진
는 1972년에 지정된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제 7호로써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외적과 싸우다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 (宋象賢:1551~1592)과 부산진첨절제사 정발(鄭 ... 이 동래읍성 남문 밖 농주산에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를 지어 해마다 제사를 지냈다. 그 뒤 1624년(인조2)에 선위사 이민구의 청으로 충렬사라는 사액이 내려져 송공사는 충렬 ... 은 1551년(명종6)에 출생, 15세에 승보시에 장원, 20세에 진사가 되었고 26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내 외직을 두루 역임하시다가 1591년(선조24)에 통정대부(정3품 당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