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묘제례악, 범패, 무악? 가악 ― 가곡, 가사, 시조? 민속악 ― 판소리, 시나위와 산조, 잡가, 민요, 농악- 대분류법이 서한범의『국악통론』과 같다.- 서한범의『국악통론』과 비교 ... 으로 양분했는데, 이 분류법은 박기환의『국악통론』내 분류법과 전체 적으로 유사하다. 단, 아악은 박기환의 이분법과는 달리, 5가지 항으로 분류하였다.- 정악에서 연례악을 독립 ... 성이 돋보이는 한국음악을 이루는데 기여하였다. 발생과 이동경로에 상관없이 이들 국악기들은 한국적 문화풍토에서 숙성하게 되었고 한국음악적인 음악기법과 표현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
(특별히, 타국에 한국음악을 소개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4가지 단계로 비교적 자세 히 분류하였다.Ⅳ. 서한범,『국악통론』(1981)?아악 ― 영산회상, 여민락, 보허자, 낙양춘 ... , 시조?민속악 ― 판소리, 시나위와 산조, 잡가, 민요, 농악- 대분류법이 서한범의『국악통론』과 같다.- 서한범의『국악통론』과 비교할 때, 민속악에 농악이 추가되었다.* 대분류법 ... 계)를 같은 항목, 대등한 위치로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의 기준이 각기 다르다.- 서한범의『국악통론』을 제외한 기존의 개론서들이 아악(정악)을 악기 편성에 따라 분류 한 것과는 달리
업회, 1977.(10) 서한범, 「국악사」, 『국악통론』(서울: 태림출판사, 1981), 211-273p.(11)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일조각, 1984.(12 ... 한국음악사삼 국 시 대고 려 시 대이혜구「음악사」고 대고려전기고려후기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장사훈국악의 역사고 대 시 대고 려 시 대서한범국악통론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고 려 ... 다. 따라서것들이다.셋째 유형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를 구분한 것인데, 이혜구 공저 「국악사」 및 「음악사」, 그리고 서한범의 『국악통론』, 권오성의 『한민족음악론』이 여기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