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3)
  • 리포트(9)
  • 논문(4)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단칠정후설" 검색결과 1-13 / 13건

  • 이황, 기대승, 송순의 사단칠정론 (The Doctrines on Moral emotions of Yi Hwang, Ki Dae-sung and Song Soon)
    에 놓게 된다. 기대승은 이황의 호발설의 논리적 난점을 반박하였으나 이황의 이론이 갖는 목적을 받아들여 사단칠정후설사단칠정총론에서 사단이 이가 발한 것이라는 이황의 주장을 받 ... 사단칠정논쟁은 16세기 성리학의 세계관에 따라 우주의 구조를 정리한 천명도의 작성과정에서 정지운이 사단은 ‘이(理)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이서 발한다’고 한 것이 그 발단이 되 ... 었다. 이로부터 사단칠정이라는 감정의 이기론적 지위가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황은 사단칠정을 이기(理氣)로 나누는 호발론을 주장하였다. 이황의 목적은 기질로부터 사단을 분리
    논문 | 2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11 | 수정일 2025.07.19
  • 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이황; 이항ㆍ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Kobong Ki Dae-sung’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다고 하는 것이었다. 감정의 근원을 리로 보는 것은 성선론적 가치관에서 리발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1566년, 기대승은〈사단칠정후설〉,〈사단칠정총론〉에서 칠정의 경우 발현이 리와 기 ...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리기일물론에 대해 비판이 진행되면서, 기대승 자신의 사단칠정론도 리와 기를 구분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로 사단의 리발은 순선함의 측면 ... 의 발출과정에서 각기 발하는 이황의 방식이 아니고, 이기가 혼륜하게 있으면서 정의 의미와 내용에 따라 이발 기발을 구분하여 수양해야 한다는 호발론이다. 고봉은 이황이 사단칠정을 이
    논문 | 32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1. 사칠논쟁의 발단배경사단이라는 개념은 원래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로 게시한 인간심리 현상 중의 일부를 말한다. 곧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 ... 근거가 되고 성이 움직이면 그것이 정으로 바뀐다고 규정하면서 맹자가 말한 사단은 정이고 사적은 성이라고 했다. 그러나 주희는 다시 희, 노, 애, 락 곧 칠정은 정이고, 아직 발동 ... 하지 않은 것을 성이라고도 했다. 성을 인, 의, 예, 지로 보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사단칠정이 다 같이 정임에도 동일 개념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사단은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5.05
  • 퇴계 이황과 사단칠정
    表現上帝 天이 人格神으로 지니는 主宰性을 나타내는 表現, 天의 다른 表現3.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조선시대의 석학인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주장한 인생관의 논리적 학설이 ... 다. 사단이란 이(理)에서 나오는 마음이고 칠정이란 기(氣)에서 나오는 마음이라 하였으며, 인간의 마음은 이와 기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마음의 작용은 이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과 기 ... 으로 순선(純善)으로서 곧 도심(道心)이라 하였고, 칠정(七情)은 기(氣)가 발(發)한 것으로 선ㆍ악(善惡)을 겸한 것으로서 곧 인심(人心)이라 하였다.사단(四端)인간의 본성에서 우러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6.07.06 | 수정일 2017.12.22
  • [조선성리학]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칠리기논변, 사단칠정논쟁
    요, 칠정사단을 포함하는 전체라는 요지의 편지를 보내왔다. 퇴계는 이에 간략히 답변하였고, 고봉은 다시 사단칠정후설과 總論을 지어 보내 퇴계의 이발 기발의 견해를 수용하는 듯 ... 七情 논쟁의 발단이황의 철학 사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동시대의 젊은 학자 기대승과의 논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사단칠정 논쟁이다. 이 논쟁은 조선 주자학 ... 의 역사적 성격을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철학적 전환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한국철학사상 가장 중대한 사건 중의 하나로 기록할 만하다. 사단칠정 논쟁은 본격적으로 주자학이 수입되어 연구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5.05.06
  • 조선시대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은 퇴계)과 도덕적 가치문제를 더욱 추구하였으니 退溪 이황과 高峯 기대승, 栗谷 이이와 牛溪 성혼 간의 이른바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 바로 그것이다.사단(四端)이란 맹자 공손추장구 ... 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이론이 다양해지지 않을 수 없었다.사단칠정논변은 추만 정지운(秋巒 鄭之雲 1509~1561)의 천명도(天命圖)에서 비롯된다. 추만은 후학들에게 중용(中庸 ... )의 천인지도(天人之道)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작성했다는 이 천명도에서 理氣, 心性, 太極, 道 등을 말하는 가운데 "사단은 이에서 발하고(四端發於理), 칠정은 기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3.23
  • [ 철학]태극론과 이기론 - 성리학의 쟁점
    는다), 불상잡(不相雜)(양자가 서로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리선기후설(리는 기보다 선행하고 있다)4)주자와 육상산의 주렴계의 ?태극도설? ‘태극’에 대한 논쟁.주자는 이를 적극 ... .그중 「조선 유학사에 있어서 주리파,주기파의 발달」은 이황과 이이를 정점으로 하는 조선 성리학의 발달 과정을 문제 중심으로 고찰한 것. (조선 주자학의 핵심은 사단칠정론이라 주장 ... ③이이의 사칠설④사칠논쟁과 주희의 학설⑤영남학파의 사칠설⑥기호학파의 사칠설 ⑦농암문파의 사칠설 등으로 구성되었음.cf) 사단(四端) -惻隱之心(측은지심) 羞惡之心(수오지심) 辭讓之心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3.14
  • 퇴계와 율곡의 논쟁
    ) 이기론의 특징16세기 후반에는 성리학에 대한 이론적 탐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그때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것은 오상(五相)과 사단칠정(四端七情))으로 포괄되는 인간의 성정 ... (性情)을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한국의 성리학은 심성론(心性論), 특히 사단칠정의 문제를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깊이를 더하게 되었으며, 조선 성리학의 특징 ... 의 제자들에 의하여 계승되었다. 조선의 유학자들의 성리학을 연구하는데 가장 관심을 가진 것은 심성론(心性論)으로, 사단칠정(四端七情)이라는 인간의 감정을 연구한 대표적 학자인 이황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3.27
  • 이상정의 `理氣統看`과 이이 성리학 변석
    후설의 논리와 마찬 가지로 사단칠정을 분개와 혼륜, 그중에서도 분개의 측면에 비중을 두어 논리를 전개시켜 나간다.살펴 보건대 사람은 천지의 기를 품부 받아 체를 삼고, 천지의 리 ... 으로써 ‘리’와 ‘기’를 설명한다. 따라서 그는 자연과 인간 마음의 구조를 불문하고 모두 ‘리’와 ‘기’의 불상리(不相離)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사단’과 ‘칠정’등의 인식 상 ... 을 편집했다.)주리적 관점에서 사단칠정의 문제를 보자면 그 소종래에 따라 근원에서부터 차이가 있게 되어 구별되는 성질을 갖는다. 반면에 이이계열은 리기혼륜의 관점에서 칠정사단을 포함
    논문 | 23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3.03.20 | 수정일 2016.07.04
  • 한국의 `설`문학
    하게 설명과 주장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실천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성리학설이란 송명의 유학인 성리학에 대한 글이다. 대표적인 성리학설은 사단칠정론에 대한 ... 다. 따라 관념적이고 철학적이거나 사변적인 것들을 직설적 내용과 표현으로 전개해 가고 있다.직서의 설은 그 제재에 따라 독후설, 명자설, 문자설, 경설, 예설, 성리학설, 당재설, 시문설 ... , 계훈설, 사물설, 불설, 잡설로 나눌 수 있다.)먼저 독후설이란 현대의 독후감과 비슷한 성격으로 서책을 읽고난 후 그 책의 내용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거나 자신의 감상과 소감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1.06
  • [한국 사상]한국 사상사
    자료윤휴는 22살이라는 젋은 나이에 「사단칠정인심도심설(四端七情人心道心說)」이라는 글을 지어 일찍이 이기(理氣)와 심성(心性)의 문제에 일가견을 보이며, 많은 문인들과 교류 ... 異)」ㆍ「대학설(大學說)」ㆍ「중용장구보록서(中庸章句補錄序)」ㆍ「중용대학후설(中庸大學後說)」 등을 지어 마무리된 일생의 역저로서, 조선 유학사상으로도 매우 중요시되는 업적이다.이밖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1.05
  • ◆◆◆ 조선시대 영남지역인물 조사 ◆◆◆
    을 거의 완결지어 그 서를 썼다.59세에 황중거에 답하여 백록동규집해에 관하여 논의하였다.또한 기대승과 더불어 사단칠정에 관한 질의응답을 하였고, 61세에 이언적의 태극문변을 읽고 크 ... 다. 물론, 이언적은 이 논쟁에서 이기론의 주리론적 견해로서 이선기후설과 이기불상잡설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우위설의 견해는 이황에게로 계승되는 영남학파의 성리설에 선구가 된다. 그
    리포트 | 1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6.04.1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