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주창한다. 기든스는 다른 형태의 사회조직이나 역사적 시기와 비교해서 자본주의가 갖는 독특성을 강조한다. 현재와 과거의 비교를 분석하고 있는 사회변동이론에 대한 비판을 하 ... 고, 시간?공간의 원격화와 권력문제를 분석의 중심에 놓는 사회변동이론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 및 국민국가의 출현을 탐구하는 데 사용한다.기든스와 맑스-기든스는 맑스의 접근방법 ... 를 출현시킨 사회변동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푸코와 마찬가지로 기든스는 근대세계가 다양한 형태의 국가권력과 분리되어서는 이해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