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눈’의 반박문진중권은 ‘벌거벗은눈’에서 19세기 말에 구석인들의 동굴벽화가 발견된 당시에 너무나도 사실적인 묘사에 깜짝 놀라고 구석기 시대에는 ‘개념적 사유’의 지배 ... 에는 ’개념적 사유‘가 부족하여 사실적인 묘사를 하였다.’라는 주장을 반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문화에는 보편성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진중권의 주장대로 라면(사실적인 묘사
같다. 웬만하면 교과서가 아닌 책에 필기하지 않는 편인데, 읽다가 눈살이 찌푸려져 책에 반박하는 내용을 적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필자가 과도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던 것 ... ?” 이다. 성경 말씀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람과 그의 아내는 모두 벌거벗고 있었으며, 그들은 전혀 부끄러움을 몰랐다.” 성경을 들먹이지 않아도 태초에 인간의 조상(호모 에렉투스 ... 다.『투명사회』을 읽다 보면, 저자가 지속적으로 불투명성, 불명확성 등을 미화시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할 수 있다. 그것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바로 다음의 문장이다.“의미의 불
내용이 방대하고 전문적이긴 하지만 탐험의 과정이 기행문의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고, 레비스트로스 자신의 사상적 편력과 청년기의 체험 등이 일종의 자서전 형태로 반영되어 있어 일부분 ... 의 잣대로 바라보면 안된다는 것을 느끼게 된데에는, 여기에 서술되는 부족들은 나무뿌리나 거미 또는 유충들을 먹기도 하고, 벌거벗은 채로 생활하는 부족이라 할지라도 오히려 현대 서구 ... 문명의 발전을 저해당하는 것이 레비스트로스의 눈에는 비애로 비친 것이다.레비스트로스의 ‘슬픈 열대’는 그 방대한 양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세상에 ‘더
편견이 개입되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하면서, 헛소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아이들의 무의식적인 말을 분석하였다. 그러한 분석 방법은 「다섯 살배기 꼬마 한스의 공포증」에서 구체 ... 적으로 나타난다. 세 살 6개월인 한스는 ‘엄마가 슈미즈 차림으로 거의 벌거벗고 있는 걸 봤어. 엄마는 나에게 엄마 고추를 보여주었어. 나는 그레테에게 엄마가 어떻게 했는지 보여 ... 의 아버지와 동일시하였으며, 따라서‘사실 말 중에서 입에 뭔가 시커먼 것을 단 말이 가장 무서워’라고 말을 하며 말 입가와 눈앞의 시커먼 것 등을 무서워한다. 이것은 한스의 아버지
를 비난하는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교회의 문에 붙일 때만 해도 그런 의도는 추호도 없었다. 종교개혁은 철저한 시나리오를 통해서 계획되어졌다. 거기에 다양한 요인들이 맞물려 오늘날 ... , 벌거벗은 채로 행진을 하게 되는 임금님은 대중의 웃음거리가 된다는 아주 간단한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짧은 이야기 속에 엄청난 교훈이 숨겨져 있다. 동화 속의 인물 ... 님들이 판을 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기만과 거짓으로 자신의 눈을 가려버린 채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돈 때문에 가족을 외면하고, 권력 때문에 정의를 외면
도 마 뱀현 대 문 학 강 독국 어 국 문 학 과A274033 홍 연 정1. 작가소개김영하 : 1968년 강원 화천 출생,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1995 「거울에 대한 명상 ... 로 맞장단을 친 셈이다.소설가 김영하(33)를 수식하는 형용사들은 대부분 스타일에 관계된다. 그러나 그의 소설이 지닌 중요한 매력 하나는 눈물 한방울 흘리지 않고 비명 한마디 지르 ... 을 배설하는 행위인 것이다.보다 과격하게 이런 자위행위를 발전시키는 육체의 도구가 바로 손 이다. 김영하의 소설에서 손은 눈의 관념성과 의식성, 위선을 극복하게 해주는 직접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