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쟁탈전의 상징, 백마고지전투의주요 전과와 그 의의휴전협상은 1951년 7월 10일부터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2년동안 지속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 하기 위해 전투를 벌였다.백마고지전투는 휴전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져들고 1952년 10월 초 판문점에서 포로회담이 해결되지 않자, 중공군의 공세로 시작된 1952년도의 대표적인 고지 ... 쟁탈전이었다.1. 백마고지 지형의 특징과 전략적 가치백마고지전투는 1952년 중반에 접어들어서도 비교적 쉽게 타결될 것으로 판단했던 포로 협상이 타결점을 찾지 못하면서 다시 피
, 압록강까지 도달하였으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후퇴하여 2 차례나 38 선을 오르내린 끝에 1952 년 10 월 백마고지전투가 벌어지기 직전에는 현재의 휴전선 일대에서 쌍방간 ... 파상공격을 감행 . 백마고지우견부가 일시 피탈되었으나 곧바로 역습하여 중공군을 격퇴 , 진지를 회복 . ▣ 제 12 차 전투 ( 1952 년 10 월 12 일 19 시 30 분 ... ( 1 ) 395 고지의 전략 및 전술적 지역을 지킴 . ( 2 ) 백마고지전투의 승리가 당시 유엔군의 전체적인 작전 주도권확보에 크게 기여함 . ( 3 ) 백마고지전투에서의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