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의 문학 작품을 통한 ‘친구 관계’의 비교-‘발승암기문’을 통해 비교하는 18세기 조선와 21세기 한국의 친구 개념사람들은 언제나 타인과 관계를 맺는다. 이는 대게 인간 ... 보여준다. 박지원이 쓴 ‘발승암기문’에서 이러한 차이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발승암기문’에서 박지원은 김홍연을 금강산에서 처음 만난다. 정확히 말하면 김홍연을 만난 것이 아니 ... 선문답이 있고난 9년 뒤, 박지원은 드디어 발승암 김홍연을 만나게 된다. 김홍연은 늙고 병으로 불구가 돼 절집에 붙어산다고 자신을 소개한다. 그리고 박지원은 산행에서 자신에게 힘
오마 기약해도보내는 자 눈물로 옷깃을 적시거늘이 외배 지금 가면 어느 때 돌아올꼬?보내는 자 쓸쓸히 강가에서 돌아가네발승암기문에서는 김홍연이라는 사람이 등장하는데, 이 사람 ... 없네.대심이 믓사람과 다르다 보니, 이 때문에 의아히들 여기는게지.그런데 김홍연의 바람대로 김홍연의 이름은 발승암기로 인해 남기게 된 것이 또 아이러니하다.“평범한 언어를 구사
의 모습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그 다음은 ‘발승암기문’입니다. 이 글은 일단 호기심으로 시작합니다. 연암이 금강산을 유람할 적에 ‘김홍연’ 이라는 이름을 발견하고 의아 ... 의 기문’입니다. 이것은 연암의 지인중에 양직 이라는 이가 자를 죽오라 하고 그 호를 편액에다 써서 자신의 집에 걸고 연암에게 그 기문을 써달라고 한것을 바탕으로 작성 된 글입니다 ... . 하지만 연암은 쉽사리 기문을 써 주지 않았습니다. 이미 무수히 많은 이가 그러한 대나무를 찬양하는 글을 썼기에 자신까지 동조하고 싶지 않더라는 부분에서 연암의 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