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송리형호의 여러 속성 가운데 절대적인 속성으로는 발형 구경부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속성을 갖추고 있는 일체의 토기를 미송리형호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까지의 조사 정황 ... 을 고려하여 볼 때, 미송리형호에는 무문양의 것도 다수 제작되었다. 미송리형호는 무문양으로 출발해 곧이어 유문양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두부류는 시종일관 공존하였다. 미송리형호는 지역 ... 적 토기 제작 전통에 따른 변이가 많아 일률적인 변화 패턴을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동체부 형태를 제1기준으로 하여 미송리형호를 6개 형식으로 분류한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