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회기로 진행된 모래놀이 치료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이론적 내용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아동 B’는 모래놀이 치료 1회기에서 모래상자를 꾸밀 때 “밥을 굶기 ... 치료는 융 학파의 중요한 기법의 하나로, 모래상자는 ‘자유롭고 한정된 공간’을 상징한다. 아동은 물과 다양한 미니어처를 사용하여 자신의 내부 및 외부 세계를 이미지로 구체 ... 가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준다. 이혼 가정의 자녀인 ‘아동 B’는 어머니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 건강한 독립을 이루기 위해 모래상자에서 부정적 경험을 재경험
을 입힌 모래는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10) 모래상자치료 회기를 위한 프로토콜모래상자는 개인회기, 합동이나 집단 회기 그리고 가족 회기에서 사용될수 있다. 치료적 개입기법 ... ) 회기전형적인 가족 기능에 관한 장면을 만들도록 돕는다.?3단계 : 내담자가 모래상자에서 장면만들기? 치료자의 역할-융 학파는 ‘자유롭고 보호받는 공간’에 대해서 말한다.내담자가 자신 ... Dora Kalff는 Lowenfeld의 세계기법에 융 이론에 적용하여 “SandPlay” 라는 심리치료 기법을 만들었다.1965년 가와이는 모래상자가 시각적이고, 비언어적 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