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의 4차 대회에서임(p.13)독일의 공산주의자 클라라 체트킨(Clara Zetkin)은 파시즘의 핵심은 배고프고 고통받으며 낙담한 사람들을 유혹할 수 있는 능력에 있고 만일 ... 파시즘이 저지되었다면 그들은 공산세력진영으로 갔거나 그렇지 않으면 적어도 정치적 중립성을 지켰을 것이라고 주장함. 체트킨은 파시즘을 단순히 테러운동으로 여기는 공산주의자들을 냉정 ... 하게 비판하였으며 그리고 파시즘은 테러에 호소하기 전에 이미 노동운동에서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함.(p.14)칼 라덱(Karl Radek)은 공산주의자
세계의 민주화를 둘러싼 립셋류의 ‘낙관적 전망’과 오도넬류의 ‘비관적 전망’의 대립이 낙관적 전망으로 귀결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림.책에서는 민주화란 무엇인가(1장), 왜 민주 ... (6)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음.○ 3개의 민주화 물결*제1차 민주화 물결(1828-1926): 서구 국가들의 민주화 과정(역물결: 파시즘의 대두, 1922-1942)*제2차 민주 ... 민주화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민주화○ 헌팅턴의 관심은 제3차 물결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는 민주화과정의 특성상 구별되는 네 가지의 민주화 모델(cycling pattern, s
사고는 민주주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산업사회의 경제적 발전이 가져오는 조건들을 전제하고 있다. 그것은 립셋(S.M. Lipset)의 “국가가 부강해질수록 민주주의를 유지할 수 ... 세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오도넬(G. O'donell)은 주요 남미국가들에 관한 분석에서 립셋이론을 반박하는 주장을 폈다. 최고의 근대화에 수반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아니라 독재 ... 의지와 높은 개인 소득은 별 상관이 없다. 립셋의 주장대로 보다 많은 부는 승자와 패자에게 삶과 죽음을 강요하지 않기 때문에 정치적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지
의 정치학자 오도넬이 말하는 “관료적 권위주의(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이라 BA로 줄임)이고, 둘째는 립셋과 아담 쉐보르스키의 근대화이론이 ... 주의로 나타나느냐, 파시즘과 같은 독재 또는 공산주의 혁명으로 귀결되느냐하는 문제는 초기 근대화 과정의 패턴이 결정적이다. 농업이 어떻게 상업화되느냐 하는 패턴을 핵심으로 하 ... 권위주의적 산업화와 운동에 의한 민주화1. 박정희식 발전모델의 특성은 무엇인가?(1) 박정희정권의 이율배반성한국에서 박정희 정권이 주도한 위로부터의 근대화 프로젝트는 ‘박정희식
의 상관관계 ; 이론을 통한 검토1) 근대화론과 신근대화론립셋으로 대표되는 근대화론은 간단히 말하면 산업화와 경제성장이 민주주의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경제발전은 중산층을 성장 ... 되는, 특정의 정치체제 유형이 만들어지게 된 사회적 기원을 밝히려는 이론이다. 체제유형이 민주주의적으로 나타나느냐, 파시즘과 같은 독재 또는 공산주의혁명으로 귀결되느냐 하는 문제 ... 민주주의를 위해서는 산업발전을 먼저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은 정당한가? ; 비판적 검토1. 서한국은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산업화를 거치면서 근대화를 달성하였고, 반면 19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