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z von Liszt)Ⅱ. 개념법학과 자유법론Ⅲ. 고전학파와 근대학파Ⅳ. 형법학에 있어서 목적사상Ⅴ. 결론Ⅰ. 초기 실증주의적 형사정책의 주창자 리스트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출생 ... 또는 격리(무해화), 우발적 범죄인에 대해서는 위하 처분을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Ⅱ. 개념법학과 자유법론리스트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19세기의 법 체계에 관하여 개념법학과 자유법론 ... 했다. 그렇지만 개념법학에 대하여 가장 철저한 비판을 전개한 사람은 자유법론을 주장한 에어리히이다. ‘海老原明夫’「리스트(Franz von Lszt)의 형법학 방법론」 번역본 445
브르흐(독일의 법철학자, 형법학자, 자유법운동의 선구자들 가운데 한 사람. 서남독일학파의 신칸트주의와 형법학자 리스트의 교육형론의 영향을 받았고, 오래 하이델베르크 대학 교수로 일 ... 론에서의 자유법론, 형법이론에서의 목적형론 등, 칸트와 다른 측면도 많다. 전후 나치의 포학함을 체험한데서 당시의 법을 "합법률적 불법(gesetzliches Unrecht ... . 존재와 당위, 인식(Erkenntnis)과 신앙(Bekenntnis)의 이원론, 비판적 지성, 자유주의적 경향 등에서 칸트적 정신의 계승자이지만, 법철학에서의 가치상대주의, 법학
법학’ 및 ‘법전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주장되었던 법사회학적 경향의 법사상.:자유법론은 개념법학이 개념분석만을 치중하여 법문을 해 석함으로써 사회실정에 맞지 않는 폐단을 비난 ... , 법적 안정성과 법적 정의간의 균형문제라고 할 수있다.자연법론은 ‘악법은 법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는데, 현실로는 임의의 법을 악법으로 보고 그것에 복종을 거부하는 자유를 각 개인 ... 를 목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Ⅳ.악법과 관련된 법사상1.자유법 사상: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을 중심으로 하여, 그 때까지 융성하였던 ‘개념
자 로부터 자연 법론자 로의 전향이냐 내지 변혁이냐 또는 지속적 발전이냐 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의 논의를 법치국가의 개념과 관련하여 국한하자면, 무엇보다도 그가 실질적 법치 ... 게 되었다. 법의 형식의 자기법칙성을 강조하여 법이 계급에 구애됨 없이 여전히 의미있다고 보아, 라드부르흐는 바이마르시대의 자유사회주의가 합법성, 법치국가의 이념에 밀접하게 연관 ... 부르흐의 법철학 내지 법사상에 대하여는 그의 생전부터 찬반논의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의 법학박사논문에 대하여 지도교수였던 리스트는 아주 훌륭하다고 평가했는데, 같은 대학교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