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나아가는데 그 정점을 유럽으로 상정하고 야만-미개-문명이라는 도식 하에 세계 각지의 문화들을 규정하려 했다.루이스 헨리 모건(Lewis Henry Morgan) 역시 인류의 사회 ... , 그 경험이 하나이며 그리고 그 진보가 하나”인 존재였다. 모건은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인종적 차이가 아닌 사회적 차이로 상이한 모습들이 보인다고 여겼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인류 ... 성을 보여준다.모건의 사상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개념은 진화주의로 사상적 배경에 따라 인류가 야만-미개-문명의 단계로 진화한다고 여겼다. 각 단계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각 하급
의 아버지라고 불린 두 사람이 등장한다. 루이스 헨리 모건(Lewis Henry Morgan)과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Edward Burnett Tylor)는, 다른 사람들과 달리 어느 ... 을 발전시켰다. 이 두 사람은 기존의 정보들과, 여행으로 직접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류 발전의 도식을 구체화하는 ‘비교방법’을 체계화하여 사용한다. 모건과 타일러의 비교연구는 19 ... 세기에는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 채 그대로 받아들여졌다.모건은 진지한 현지연구를 하여 지방의 부족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친족 일반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를 시작하여 친족체계에 대한 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