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양보다 추출시간으로 농도변화가 결정된다.◈로스팅 디펙트1.베이크드(Baked) : 커피 생두가 1차크랙에 도달하기 전 너무 오래가열될 때 발생(1차크랙-콩이 깨지는 타이밍 / 쌘 ... 은 시간에 고온에서 강한 압력을 주어 커피 성분을 뽑아내는 방식?브루잉: 커피가루에 물을 부어 필터로 거르거나 우려내는 방식(여과식방식, 침출식방식)->브루잉 요소: 로스팅 포인트 ... ,로스팅날짜, 원두읭 비자크기, 물 온도, 추출시간 에 따라조절에 따라 맛과 향 농도까지 취향에 맞게 내릴 수 있다.?에스프레소와 달리 브루잉커피에는 추출압력이 없어 입자 크기 따라
비가)● 너무 익은 체리, 땅에 떨어진 체리 수확● 과발효나 정제 과정에서 오염된 물의 사용3. 결점두 분류결점두가 커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프라이머리 디펙트그룹과 세컨더리 ... 디펙트그룹으로 분류한다.풀 디펙트 환산 기준프라이머리 디펙트풀 디펙트(개수)세컨더리 디펙트풀 디펙트(개수)풀 블랙(Full Black)1파설 블랙(Partial Black)3풀 ... Damaged)104. 스페셜티 그레이드(Specialty Grade)스페셜티 그레이드가 되기 위해서는 프라이머리 디펙트는 1개도 허용되지 않고 디펙트 점수가 5 이내여야 한다. 풀
은 보통 B분에서 12분 사이에 마칠 것을 권장한다. 로스팅 레벨은 아그크론사의 커피 색도계 수치를 기준으로 했을 때 #60~65가 적당하며 스코칭이나 티핑 같은 로스팅 디펙트가 없 ... 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감기에 걸렸다면 두 개의 커핑스푼을 사용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4) 생플로스팀로스터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샘플 로스팅 ... 어야 한다. 로스팅 후 원두를 식히는 과정인 쿨링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로만 해야 한다.5) 샘플 보관로스팅 후 샘플은 실내온도가 20도 내외인 시원하고 어두운 장소에 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