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같은 진독수의 전통문화와 그 사상에 대한 반격은 두아천(杜亞泉)으로 하여금 그가 주편으로 있는 『동방잡지(東方雜誌)』를 통해 대응하게 하였다. 두아천이 이렇듯 강력하게 대응 ... 구 두 세력의 사상영역에서 점차 정치적으로 변질되었다는 한계를 남긴다. 주장들이 결국 다른 계층과 다른 정파의 사상을 대변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서논전은 이 ... 했다. 호적이 주로 문체 형식의 개혁을 주장하였다면 진독수는 문학의 개혁에 있어서 내용에 주된 관심을 두었다는 것이 그 둘의 차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1917년『신청년』3권4호
적인 문명이나 동양은 고대에 머물러 있음->동양의 문화는 현대에 적합하기 않으므로 서양문명으로 동양문명을 대체하는 것이 필연적♠두아천(杜亞泉)1904년 상해의 상무인서관 발행 ... 입장(->중국의 문명은 정적인 것이며 서양의 문명은 동적인 것으로 동서양의 문명은 각기 장단점이 있다고 하면서 서로 이로운 점과 폐해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이 두 문명이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