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DL,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두부 순이다.]2. 실험 재료 및 방법실험재료콩 500g, 응고제 (1조:CaCl2, 2조:G.D.L, 3조:MgCl2) 원료의 2.5%(12.5g ... 1. 서론이번 실험에서는 응고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GDL)에 따른 두부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다.두부의 정의는 콩즙을 끓여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Ca2+, Mg ... 과정에 해당된다. 가열을 통해서 단백질 변성을 시키지만 더 높은 단백질 수율을 위해 가열 뿐 아니라 응고제를 첨가한다. 이 응고제에는 일반적으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GDL
과 함께 마쇄하고 가열하면 콩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염류에 의하여 단백질이 용출되어 교질 현탁액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 Ca, Mg, 등의 염, GDL과 같은 응고제를 첨가 ... 두부상자(구멍있는), 압착도구, 목면헝겊, 믹서기, 냄비, 체, 나무주걱, 온도계, 대두 300g, 응고제, 소포제, 버너(1) 콩콩에는 단백질 40%, 지방 20%, 탄수화물 25 ... 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콩이 원료로서 적당하며, 특히 수용성 단백질이 많을수록 두부수율이 높게 된다. 콩 속의 지방은 물에 용해되지 않지만 미세 지방구 형태로 두유 속으로 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