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두더기 시인의 환멸’ 분석누구의, 누구를 향한 환멸인가‘두더기 시인의 환멸’이란 제목을 듣고 나서 제일 먼저 ‘두더기’나 ‘환멸’이 주는 컴컴하고 음습한 음감과 ‘시인 ... 는 내내 시인의 처에 대한 환멸, 시인의 정자에 대한 환멸, 고로 시인의 여성에 대한 환멸, 그 반대로 정자의 시인에 대한 환멸, 또 정자와 이야기하는 도중 드러난 처의 남편 ... 에 대한 환멸, 그 속에서 갈등하는 자신에 대한 시인 스스로의 환멸을 볼 수 있었고 그 까닭인지 마음이 불편했다.물론 우스운 소재나 재치 있는 말투를 통해 독자로서 중간중간 웃기도 했
편 등 엄청난 양의 작품을 만들어냈다.3.김우진의 작품들*창작희곡 :「正午」, 「이영녀」(1925.9), 「두더기 시인의 환멸」(1925.12),「난파」(1926.5) , 「산돼지 ... 김우진의 ‘난파’1. 줄거리1막 시인은 자신을 무능력하고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낳아준 어머니를 원망한다. 시인의 모는 시인이 두 형을 죽이고 신주인 할머니의 정기를 받 ... 아 태어난 비범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시인은 비열하지만 현실에 적응하며 살기 원한다. 시인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운명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시인과 시인 모가 다투고 있을때 시인 부
시인의환멸 발표. 1926. 5. 희곡 난파 창작. 1926. 7. 마지막 희곡 산돼지 탈고. 1926. 8. 4. 현해탄에 투신.초성 김우진(1897~1926), 1920년 ... 을 완쾌시켰나 는 연대 미상. 1921. 7-8. 동우회 순회연극단 주도. 연출 활동. 1925. 9. 희곡 이영녀 탈고. 희곡 정오 는 연대 미상. 1925. 12. 희곡 두더기
족적을 남겼고, 창작희곡으로는 「정오」「이영녀」「두더기 시인의 환멸」「난파」「산돼지」. 번역희곡으로는 「위렌부인의 직업」등이 있다. 젊은 나이에 현해탄에서 투신함으로써 생을 마감 ... 고 있다. 표현주의는 외양의 묘사보다는 내면의 움직임을 드러내기 때문에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구조를 띠기 마련이다. 이 극 역시 젊은 시인이 그의 모와 출생에 관해 논쟁하는 장면 ... 들의 대사가 표현해 내고 있는 상징적 내용에 더욱 중점을 두고 보아야 한다. 시인의 갈등은 현재 자신이 서 있는 존재로서의 모든 것에 있다. 왜 이 모양으로 태어났으며 왜 미개발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