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이밖에 가람본 《청구야담》에서는〈동상기 東廂記〉를 그가 지었다고 하였는데, 사실여부는 알 수 없다. 그는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의 희생물이 되었으나, 그가 남긴 산문과 시 ... 심화 연구 [동상기]1. 들어가며현존하는 문헌기록에 의하건대 우리나라의 연극과 연희문화는 삼국시대부터 상당히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의 향악잡영(鄕樂雜詠 ... , 그나마 문헌기록으로 정리 되지는 못했다. 이러한 저간의 사정을 고려할 때, ‘동상기’의 연극사적 의의는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동상기’는 1791년 문양산인(汶陽散人)이라는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