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락팔곡에 대한 논쟁과 나의 견해1.1 형식의 해체독락팔곡은 문집인 『송암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1860년에 민규가 지었다는 '충효가' 1편이 더 알려져 있으나, 이 ... 는다. 따라서 독락팔곡에 한정되어서 형식의 파괴를 알아 보는 것이 필요하다.이 작품은 작품의 구성형식을 통해서 쇠퇴기 혹은 소멸기의 형태적 변형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즉, 전통 ... 하여 파격형으로 구분하였다.)이를 바탕으로 조동일 역시〈독락팔곡〉을 경기체가의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파격형 으로 보았다. 파격형을 각 장간의 균형이 깨어지고 행의 수가 기본
별곡(花田別曲), 독락팔곡(獨樂八曲) 등이 있다. 본문에서는 경기체가의 대표작이자 시초로 인정받는 한림별곡(翰林別曲)과 경기체가가 생명을 다해갈 때 등장한 불우헌곡(不憂軒曲), 이 ... 함에도 불구하고, 박일용교수는 사대부들의 문란함마저 논문에 등장하는 한림별곡에서 미화시키고 있다. 본문에 나와 있는 퇴계 이황의 말을 인용해보면,우리 동방의 가곡은 무릇 음란한 소리
생명이 더 이상 지탱될 수 없는 정도에까지 이르렀고, ‘독락팔곡’ 같은 작품으로 수기(修己)를 강조했던 권호문 같은 작가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소멸하게 되었다.1.4. 경기체가 ... 정극인의 ‘불우헌곡’, 유자와 그들의 생활에 대한 예찬인 박성건의 ‘금성별곡’과 산림에 뜻을 두면서 속세를 멀리하는 내용인 권호문의 ‘독락팔곡’ 등이 있다.4) 송도?송축국가의 위대 ... 라 본문의 내용에 상응하는 내용으로 된 구절이 장마다 바뀌어서 들어가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어서,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는 속요의 렴과는 차이가 있다. ‘한림별곡’에서 렴이 하는 구실
엄연곡723독락팔곡권호문명종∼선조(1567-1587)7송암속집기타, 중종 21(1526)년에 지었다는 이 이름만 전하고, 19세기 철종 11(1860)년 작품인 민규의 가 남 ... 에 이른 흐드러진 광경, 당시 상층 사회의 문신들의 생활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정욕적인 풍류의 극치를 국어로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독락팔곡(獨樂八曲)太平聖代 전야일民 (再唱 ... 하는 광경이 그 어떠합니까? (참으로 훌륭하다)(4, 5, 6, 7 장은 본문 그림 파일 참조)(제8장)당당당 당추자(호도나무) 쥐엄나무에붉은 그네를 맵니다.당기시라 미시라 정소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