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라마 죠프의 형제들을 읽고현재는 21세기 인터넷과 디지털, GENOME프로젝트, 대중문화가 주요한 삶이 되어 있는 세상이다. 세상의 변화가 너무도 빨라 그 속도를 따라잡 ... 적 혼돈속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란 책은 인간이 본디 어떤 존재인지, 인간이 어떤 자신을 수립해야 하는지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맏형인 드미트리 ... , 둘째 이반, 막내 알료사, 그리고 작품 진행과정에서 서서히 밝혀지는 사샐아 스메르자코프 이렇게 넷이다. 형제들의 성격은 각각 개성이 있는데 그 성격의 상징성이 의미심장하다. 맏형
까라마죠프가의 형제들'을 읽고- 우리 생의 화두를 보다 -나는 지금의 내 나이가 부끄럽도록 여느 사람들에 비하여 독서 량이 부족한 편이다. 자랑은 아니지만, 남들이 흔하게 읽 ... 은 책 중에서도 내가 안 읽은 책은 허다하다. 이런 내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을 읽어보았을 리 만무하다. 그러던 중 언제부터인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계 대문호들의 책을 하나 둘씩 읽 ... 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문학적으로 수준이 한참은 떨어지는 나에게 이 책은 처음부터 무리였을지도 모른다. 그러하기에 나는 내가 이 책을 완전히 이해했다고는 감히 말
애로 결합되어 가는 모습을 보이는 까마라조프 형제들의 모습과, 사소한 다툼으로 자존심이 상한 소년 일류샤의 죽음 앞에서 친구들이 순수한 우정을 발휘하는 모습 그리고 아주 짧은 부분 ... 이지만 리즈와 알료샤의 작은 사랑이야기가 그것이다. 결국 도스토예프스키가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통해 말하려고 했던 것은 인간의 죄의 자백과 순종, 곧 그리스도의 사랑에 의한 ... 심화가 좀 더 필요했던 것 하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통해 말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간의 죄의 자백과 순종, 곧 그리스도의 사랑에 의한 구원과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