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안정시키는 역할도 담당했다. 이를 위해 지방마다 향약이 작성됐는데, 지극히 주자학적인 이념을 띠었다. 한 예로 김기의 향약은 일반 민중도 포함한 지역 사회 전체의 규약이었다.재지 ... 체제의 성립저자는 양반 지배 체제의 확립 과정을 향안과 향약을 통해 살펴본다. 우선 향안의 경우 서얼,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자손, 향리 출신 등은 서얼 입록에 특히 엄격
에 자극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문인제자들이 찬술하는 향약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안동의 향약 중 널리 알려진 것은 김기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김기의 향약은 이황의 향규 ... 조종대의 제도중 하나인 "유향소"가 부활된다면 위의 모든 벽이 뚫려질 것이오니 부디 유향소의 전국에 대한 설치, 운영을 윤허하여 주시옵소서. 삼가 하교를 기다리나이다.”? 향약 ... 의 제정향촌사회의 향도, 계, 두레 등이 지방 양반의 성장에 따라 유교적 향약으로 바뀌게 된다. 향약은 지역 모든 주민이 참여하지만, 그것을 관리하는 관리들은 사족계층이 맡아하
았다. 향소의 일은 향리층의 감독과,지방의 풍속과 질서를 안정시키는 것으로, 이를위해 향약이 설치되었다. 안동은 김기의 향약의 유명한데 4대덕목(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 ... 양반 16세기 전반까지 안동에서는 재지양반층의 폐쇄적인 계층성이 아직 강하지 않으나, 1589년 정사성이 작성한 향약을 따르는 향록 은 정부의 고위고관의 지위에 있는 것만으로도 입록 ... 상휼)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하인약조(하인,일반민중이향약위반시의 벌칙)도 자세히 규정함으로써 향약이 사회전제의 규약임을 보여준다.재지양반층은 읍 단위의 집결체였던 향안 조직 결성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