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평전머리 글보통 김교신을 기성교회에서는 우찌무라의 무교회주의를 국내에 가져온 반교회주의자로 인식하 그러나 김교신은 우찌무라의 무교회주의 곧 ‘일본적 기독교’를 조선 ... ’를 조선에 가져온 이단자 혹은 현실 가능성이 없는 신앙을 가진 ‘신비주의자’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필자는 김교신평전을 일으면서 성서와 조선을 사랑한 조선인이자 평신도였던 김교신 ... 에 똑같이 적용시켜 ‘조선적 기독교’를 수립하지 않았다. 또 우찌무라의 무교회주의를 이용해서 자신의 어떤 교권 갖거나 이득을 취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김교신은 ‘무교회
한국교회사 과제물(김교신평전/ 전인수 지음) 요약/서평/비교김교신평전[요약]1장 기독교의 교훈은 좋으나1901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김교신은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교신이 세 살 ... 하였다. 김교신의 학자적 기질, 신앙적 자세, 신앙교육법, 심지어 애국심까지 유교에 토대를 두었다고 보는 이도 있다. 그는 성격이 단도직입적이어서 부당한 일에는 타협이 없었다. 김교신 ... 했다. 1919년에는 함흥에서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인해 31운동 직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다.2장 일본 유학과 입신의 여정김교신은 도쿄 영어 예비학교에서 학문적인 것
한경직 평전한경직은 지금은 북한에 속해있는 자작이라는 마을에서 1902년 음력 12월 29일에 아버지 한도풍과 어머니 청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1908년 1월 ... 을 끼쳤던 소위 무교회주의자 김교신은 예배당 건물이 교회가 아니라 모이는 신자들 자체가 교회라고도 하지만 경직이 어릴적 고향 마을에 마팻선교사에 의해 지어진 예배당이 경직에게 미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