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3. 양명학나카에 도주(中江藤樹)와 그의 제자인 구마자와반잔(熊澤蕃山)은 양명학파를 이루었다. 나카에 도주는 처음에 주자학을 배웠으나 이윽고 양명학{) 중국 명나라 때의 왕양명 ... (知行合一) 이 된다는 철학.에 심취하였다. 그의 제자인 구마자와반잔은 오카야마번(岡山藩)의 정치를 담당하면서 양명학의 도덕설을 현실정치에 적용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양명학 ... 은 현실사회를 비판하고 그 모순점을 개혁하려고 하는 혁신사상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막부는 이 학파를 경계하였다. 구마자와반잔도 그의 저서인 『다이가쿠와쿠몬(大學或問)』에서 막부
반잔熊澤蕃山 (1619~1691), 미와 싯사이(1669~1744), 사토 잇사이 (1772~1859),오시오주사이(1793~1837)로 이어지는 계보를 일본 양명학파로 정리 하 ... 을 자연히 반 주자학의 방향으로 발전하는 밑거름으로 작용한다.2)일본 양명학①나카에 도주의 양명학나카에 도주 中江藤樹1608~1648)를 일본 양명학의 시조로 하며 그 뒤 구마자와
[中江藤樹], 구마자와반잔[熊澤蕃山] 등에서 시작된 양명학(陽明學), 유학에 경험적 합리주의를 도입한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 공자 ·맹자로의 복귀를 주장한 야마가 소코[山鹿 ... , 특히 주자학(朱子學)은 도쿠가와가 하야시 라잔[林羅山]를 정치고문으로 삼은 이후, 관학(官學)으로서 권력과 결탁되어 그 특권적 지위는 오랫 동안 확고부동하였다. 그러나 나카에 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