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형태소설정의 근거와공형태소설정의 대안』Ⅰ.서론1. 문제제기구조주의적 언어학 이후에 모든 언어 현상을 체계화 시키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시도 되었고 한국어에서도 형식형태소 ... 태소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공형태소설정의 타당성을 재검토하기 위해 공형태소설정이 가지는 장단점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공형태소설정으로 야기 ... 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공형태소설정은 내부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 공형태소설정에 대체할 만한 논리를 제시 하는데 에는 논리적으로 설명이 불합리
검토하면서 형태소가 의미를 바탕으로 하는 기본단위라는 점을 강조하고 공형태소설정이 부당하다는 점을 다시 강조했다. 기본 개념과 관련해서는 형태소 확인은 공시태 안에서 이루어져야 ... 본 논문에서는 ‘공형태소’와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형태소의 정의와 이와 관련된 형태론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 검토했다. 먼저 공형태소와 관련하여서는 기존의 쟁점들을 다시 한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