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면 갑과 을은 살인미수의 책임을 진다.(3) 상해죄의 동시범의 특례형법은 상해죄의 동시범에 한하여 형법 제263조에 규정하여 형법 제19조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3. 위험 ... 성이 있을 것○ 형법 제27조는 결과발생이 불가능하더라도 위험성이 있는 때에는 처벌한다고 규정함으로써 불능미수와 불능범을 구별하는 기준으로서 ?위험성?을 제기하고 있다. 즉 위험 ... 의 중지에 관한 형법규정이 없고, ② 예비의 중지행위를 예비죄로 처벌하게 되면 중지미수와 형벌균형이 맞지 않는다.즉, 예비행위를 거쳐 실행에 착수한 행위를 중지하면 필요적 감면이 되
의 전문가들은 '폭행이나 살해에 대해 경중(輕重)을 따질 수 없다'고 한다.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황태정 교수는 "정신이상의 이유로 범행을 저지를 때는 무작정 징역을 살게 하는 것 ... 하는 국민평등에 입장에 반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존속에 대한 존중의 윤리는 보편적 윤리이나, 법과 도덕의 구별은 근대형법의 기본원칙이며 따라서, 효라는 도덕적 ... 가치를 법이 강제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학설도 논하여 지고 있다.우리나라 형법 제250조에 따르면 살인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직계존속(直系尊屬)을 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