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원칙, 전세(田稅)·공부(貢賦)의 역(役), 경기민(京畿民)의 역(役) 등에 관한 규정을 싣고, 지방의 잡역(雜役)은 언급되지 않았다.? 잡령(雜令) :주로 전세(田稅)·공물(貢物 ... 에서 입회하게 하는 저차이다. 사헌부의 감찰을 공식적으로 청해 가는 것을 청대라 하는 반면에 감찰을 파견하는 것을 분대(分臺)라 하였다.? 잡령(雜令) :제사를 수령(守令)이 지내지 않
) ·군무(軍務) ·부휼(賻恤) ·왜정(倭情) ·잡령(雜令) 등으로 분류하여, 1643년(인조 21) 이후의 사실을 수록해 놓았다.조선 후기의 외교문서집. 129권 60책. 활자본 ... )·역서(曆書)·일월식(日月食)·교역(交易)·강계(疆界)·범월(犯越)·범금(犯禁)·쇄환(刷還)·표민(漂民)·추징(追徵)·군무(軍務)·부휼(賻恤)·왜정(倭情)·잡령(雜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