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내용을 후세에 전하지 못하고 원(元)나라 때 도종의(陶宗依)가 편찬한 《설부(設 )》에 방언부와 토풍, 조제의 일부분이 전해지고 있다.계림유사의 이본(異本)에는 여러 종류가 있 ... 는데, 진(陳)교수님의 조사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1) 涵芬樓校印 明 設 (함분루교인 명초설부본)(2) 香港大學 平山圖書館藏 明 設 本 (향항대학마평산도서관장 명초설부본)(3
珂)의 『천족고략(天足考略)』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도종의(陶宗儀)의 『철경록(輟耕錄)』에는 진(晉) 나라 영가원년(永嘉元年:A.D. 307)에 짚신은 누런 풀로 만들 ... 되어 있는 『수산도(搜山圖)』와『잡극인물도(雜劇人物圖)』속의 부녀 발은 모두 아주 가냘프고 작다. 고고발굴중에는 남송시대 부녀의 전족 신발도 발견되었다. 복건(福建) 복주(福州)소재
했다.양선의 필력이 만년에 극도로 완숙해졌음을 보여준다?[인왕산도 仁王山圖]-강희언(姜熙彦, 1710-1764), 호는 담졸(淡拙)그림의 오른쪽 위편에 적혀있는 글로 보아 늦은 봄 ... 꿈속에서 도원을 유람한 내용을 자세히 적고 그 꿈을 줄거리로 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였다고 쓰여져 있다.그 내용은 중국 북송대 도연명(陶淵明)이 쓴 〈도화원기(桃花園記)〉와 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