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한 두 개념이 결합하여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경세치용은 실학파와 관련된 학문적 지식체계의 특정한 입장이나 방법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지만, 경세론과 치용론으로 분리 ... 적, 사회적 혼란 속에서 객관적 실증성을 떠나, 주관적 경향으로 흐르게 되자 그에 반대하여 최초로 일어났으며, 그 뜻은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 더 세밀히 살펴보면, 정치·경제·사회 등 국가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다루는 제도와 방법에 관한 구체적 지식이나 실천적 구현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래 ‘경세’와 ‘치
에 합하고 있다”)고 하며, 선생이 지은 理氣?人心?道心?四端?七情說은 순수?정밀하고 깊이에 있어 여러 선비가 미칠 수가 없어서 道와 器가 분리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이와 같 ... 을 살았으면서도 학문의 세계는 爲人의 체계를 지향하여 形而上?下가 분리되지 않은 道器의 제도개혁안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반계가 도기일체의 학문을 연구하고 현실적인 개혁안을 제시 ... 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반계의 학문은 道?器一體의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반계는『周易』「繫辭上傳」의 天地乾坤의 원리를 응용해 저술과 학문의 세계에 응용하였다. 그래서 그는 군자적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