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사육된 명마가 빨리 달려 그림자조차 볼 수 없다 하여 절영도(絶影島)라고 불리기도 했다.1.2. 영도의 역사영도는 해운대구 좌동의 구석기 유적과 더불어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인 ... )로 옮기고 포이포진(包伊浦鎭: 寧海)·개운포진(開雲浦鎭: 蔚山)·서평포진(西平浦鎭: 오늘날의 사하구 구평동에)을 없애는 대신 그 3진의 수군 장비를 통합하여 절영도진을 설진했다.1914
하였다.부산진싸움 (釜山鎭-)임진왜란 때 부산진에서 왜군과 싸운 최초의 전투. 이 싸움의 결과로 왜군은 부산진성을 함락하고 여세를 몰아 파죽지세로 북상하였다.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 오후 4시경 부산 절영도(絶影島) 앞바다에 이르러 부산성의 수비상황을 정찰하였다. 당시 부산지방을 지키던 부산진성에는 부산첨사 정발(鄭撥)과 부사맹(副司猛) 이정헌(李庭憲
되었으며, 육군법률(陸軍法律) ·육군법원(陸軍法院) ·육군감옥(陸軍監獄) 등이 창설되었다. 지방군제 역시 전국의 지방군을 진위대(鎭衛隊)로 통합 개편하는 한편, 무관학교 관제(武官學校 ... 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1898년 절영도(絶影島:부산 영도)를 러시아에 조차(租借)하는 문제로 격돌하였다. 조차는 외국의 침략하는 첫 단계라고 생각하는 독립협회는 1898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