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里, 第 2里 하는 식으로 아라비아수로 기재되어 있다. 村名은 里(村)의 명칭이다. 里의 순서에 이어서 村의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統은 統의 순번으로 里의 순번과 마찬가지 ... 일 자과 목전 공성 명호적 자료에 대한 이해- 호적대장의 수록내용을 중심으로--목 차-1. 들어가며2. 호적대장의 작성과정3. 호적대장의 수록내용1) 호적대장 본문의 수록내용2 ... 대동문화연구원의 호적DB 범례를 참고하였다. 전체적인 이해는 대동문화연구원의 『단성 호적대장 연구』를 참고하였다.2. 호적대장의 작성과정)조선왕조는 호구 파악을 목적으로 매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