里五層石塔) 경기 하남시 하남시13호 광주춘궁리삼층석탑(廣州春宮里三層石塔) 경기 하남시 하남시14호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彰聖寺眞覺國師大覺圓照塔碑) 경기 수원시 수원시15호 ... 법주사사천왕석등(法住寺四天王石燈) 충북 보은군 법주사16호 억정사대지국사비(億政寺大智國師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17호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淨土寺法鏡大師慈燈塔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 ... (서울普信閣鍾)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3호 대원각사비(大圓覺寺碑) 서울 종로구 종로구4호 중초사지당간지주(中初寺址幢竿支柱) 경기 안양시 안양시5호 중초사지 삼층석탑(지방문화재
에 法晉(법진)이 普覺國師碑를 인각사에 세웠다. 이 비는 현재 경상북도 軍威郡 古老面 華水洞 麟角寺에 있는데 이 비에 의하면,선사는 사람됨이 말에 戱謔(희학)이 없고 천성이 緣飾 ... 을 보이게 되었음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이미 몽고의 침략 이전, 고려 조계종의 2세 종주 慧諶(혜심)(眞覺國師, 1178-1234)은 을 찬하면서, 더구나 우리 나라는 祖聖의 삼한 ... 花山曹溪宗麟角寺迦智山下普覺國尊碑 에 나오는 迦智山下 라는 것도 一然이 得道한 절이 道義의 法統 ,즉 禪宗을 傳燈하는 곳이었기 때문에 迦智山下 라는 이름을 따르기 마련이지, 이 참뜻
세력한 인물이라든가, 〈眞覺國師碑陰記〉에 보이는 문인관료층의 출신을 그 단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1210년대 전후에 집중된 선적(禪籍)의 간행은 판각활동에 수반되는 막대 ... 에 최씨정권 유지를 위해 항몽의식 고취를 선도했던 사원이다. 천영과 최씨정권과의 특별한 관계는 사적으로 가문에 영달을 가져왔으며,{) 〈圓悟國師父梁宅椿墓誌〉(1246)에 의하면 천영의 부었다.
) 규모의 대사찰로 이른바 화엄 불국세계(佛國世界)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의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 다.경내에 국보 제53호인 연곡사동부도(東浮屠), 국보 제54호인 연곡사북부도를 비롯하여 보물 제151호인 연곡사3층석탑, 보물 제152호인 연곡사현각선사탑비(玄覺禪師塔碑), 보물 ... 되었으며, 상륜에는 봉황을 조각한 석재가 얹혀 있다. 조각수법이 절묘하다.연곡사동부도비(飢谷寺東浮屠碑)보물 제153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비(부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