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보해야 한다.騎竹馬灸法第四제 4 기죽마구법治一切瘡瘍, 卽用此法, 無有不愈。일체 창양 치료에 기죽마구법을 사용하면 다 낫게 된다.其法令病患以???, ?臂腕要直, 用?一條自臂腕中曲 ... 뒤로 두 사람이 들어 올려 환자 다리는 땅이 두지 않고 또 2사람이 부축하게 하여 굽지 않게 한다.却將前所量臂?, 從竹?坐處, 尾?骨盡處, 直貼脊背, 量至?盡處爲則, 用墨筆點定
은 용필법(用筆法), 용묵법(用墨法), 설색법(設色法) 등과 함께 수묵 산수화에서 오랜 옛날부터 써 오던 중요한 표현기법 중의 하나이다.준법의 종류에 대해서는 정리한 화가나 화론가 ... 준법(?法)이란 ‘살가죽 터져 주름질 ?’ ‘방법 法’ 자를 써서 ‘땅 표면의 요철을 표현하는 법칙’이라는 뜻이다. 다른 말로 ‘준필(?筆)’ 또는 ‘준파(?波)’라고도 한다 ... 자가 사용한 화법으로 선(線)보다는 점(點)의 사용으로 먹의 중요성이 두드러진 발묵법(發墨法)이다. 우점준법(雨點?法)과도 비슷하나 점을 내려찍지 않고 옆으로 약간 굵게 찍으면 미점
(醱酵)된 문인수묵화의 용묵(用墨)'용필(用筆)을 기본으로 한 까닭이다. 문인화 기풍은 중국에서 파급되어 온 것이다. 이때의 문인화는 아직 원말 사대가류(四大家流) 의 남화(南畵 ... )는 아니었다. 동기창이 말하는 남종화는 훨씬 뒤의 일이다. 그러므로 문인화라 하여도 소위 북종적인 강경한 용필(用筆)로서 그러므로 가장 뚜렷하게 화법( 法)을 준용(準用)하고, 또 ... 는데 하나는 세속에서 원법(院法)이라 일컫는 것으로 곧 나라에 이바지하는 화원의 화법이다. 그리고 하나는 유법(儒法)으로 신운을 위주로 하는 그림으로 필획의 가지런함과 성김을 돌보
)된 문인수묵화의 용묵(用墨)'용필(用筆)을 기본으로 한 까닭이다. 문인화 기풍은 중국에서 파급되어 온 것이다. 이때의 문인화는 아직 원말 사대가류(四大家流) 의 남화(南畵)는 아니 ... 었다. 동기창이 말하는 남종화는 훨씬 뒤의 일이다. 그러므로 문인화라 하여도 소위 북종적인 강경한 용필(用筆)로서 그러므로 가장 뚜렷하게 화법( 法)을 준용(準用)하고, 또 수절
)에 채색 목판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山水譜(산수보)에는 石法(석법)11식, ?法(준법)14식, 樹法(수법)19式(식)등이 상세하게 그림과 함께 설명되어 있으며, 2集(집)은 蘭(난 ... 대로의 文人氣(문인기)를 가미한 독자적인 스타일을 정착시켜갔다. 池大雅(지대아) 與謝無村(여사무촌)은 대표적인 작가들 이었으며 用墨(용묵)과 用筆(용필)의 각종 기법을 자유분방
)의 필법(筆法)과 용묵(用墨)4. 산수화(山水 )의 구도법(構圖法)과 표현법(表現法)5. 사군자론(四君子論)1) 사군자(四君子)의 의의2) 매화론(梅 論)3) 난화론(蘭 論)4 ... 까지 수묵화는 시 서 화 일치(詩書畵一致)사상과 결합되면서 많은 걸출한 화가를 배출시켰다.3. 산수화(山水 )의 필법(筆法)과 용묵(用墨)필법(筆法)이란 붓의 사용법을 말한 것 ... 면 붓의 끝을 말하나 동양화란 붓 전체로 그리는 것이니 붓 끝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필법에는 붓을 거칠게 사용하는 조필법(粗筆法), 가늘게 사용하는 세필법(細筆法), 곧
대 때의 형호(901-960)는 산수시를 비롯한 산림문학의 유행, 선종불교사상의 보급, 신유가들의 자유로운 사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布置· 法·用墨 등이 당당한 산수화를 그리고 ... 의 사생방법인 遠近大小法·大山巨嶽表現法 등을 말함으로써 현대의 투시학과 같은 이론을 제시하였다.宗·王보다 약 1백 년 후의 요최(姚最, 535-602)는 그의 續畵品錄에서 心師造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