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말)/等乙 들을(■■들■■은 複數接尾辭),■■을■■은 목적격)/戈只 이, 익기(■■이 를 나타내는 말)/爲良只 답얏기(■■하여■■와 같은 뜻)/ 以 으로(造格의 뜻)/爲乎矣 답 ... 제 4장, - 이두(吏讀)를 중심으로Ⅰ 서론한글이 만들어 지기 이전 우리는 漢字로 문자생활을 영위하였다. 하지만 중국문자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언어적 표현을 기록한다는 것은 많 ... 차용 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 전체를 가리키며 향찰(鄕札) 구결(口訣) 및 삼국 시대의 고유명사 표기 등을 총칭하여 향찰식 이두 또는 구결식 이두 등의 말로 쓰이기도 하나, 좁은 의미
婚姻條)☞ 밑줄 그은 부분이 형태부를 나타낸 것으로 그 읽는 법과 뜻은 다음과 같다. 良中 → 아댈 ·아에 ·아의(∼에, 處格을 나타내는 말)/等乙 → 들을(‘들’은 複數接尾辭 ... 가지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첫째는 음독법이다. 한자를 주어진 위치에 적합한 의미의 표현과 일치하도록 음으로 읽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단어를 우리들은 한자어(漢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