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 뱉는다. 자신이 비위에 맞으면 취하고 싫으면 버리는 것康衢煙月강구연월 :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 康 (편안할 강)江湖煙波강호연파 : 대자연의 풍경改過不吝개과불린 ... : 녹색 저고리에 다홍색 치마라는 뜻으로 곱게 차려입은 여자의 옷차림을 의미論功行賞논공행상 : 공적의 크고 작음을 따져 그에 알맞은 상을 줌弄假成眞농가성진 : 장난삼아 한 것이 진짜 ... 同苦同樂동고동락 :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함棟梁之材동량지재 : 한 집안이나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인재東奔西走동분서주 :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同病相憐동병상련
하며 구체적인 유형으로 자리잡을 때 형성된 유형으로, 자연과 합일을 표방하면서 강호지락(江湖之樂)을 읊은 작품들이 있다. 강호한정(江湖閑情)과 안빈낙도가 주된 주제이다. 정극인(丁克仁 ... 를 이루었고, 시조는 그들의 정신적 자세를 표현하는 그릇이 되었다.①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의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사계절에 따른 자연의 변화와 그 속에서 생활 ... 의 한 전형이 되었다.- 자연 속에서 자연미를 즐기며 감상하면서도 유교의 이념이나 인간의 도리를 중심으로 하는 사대부 정신을 노래하였던 것으로 소위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전통을 수립
45자 내외의 평시조가 많았다. 2 초기의 회고와 충절의 노래가 차츰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충효의 내용이 중심이 되고, 애정과 도학적 의미가 부여된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내용이 주류 ... 를 이루었다. - 서정시조 3 세종 때 맹사성의「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는 최초의 연시조이며, 선조 때 정철의「장진주사(將進酒辭)」는 최초의 사설시조이다.악장(樂章)1 지배 계층인 ... 신흥사대부들에 의해 만들어진 궁중 연악(宴樂)이나 종묘제악(宗廟祭樂)에 쓰이던 주악(奏樂)의 가사이다.2 일정한 형식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한시체, 속요체, 경기체가체, 신체(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