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균여의 사상은 징관(澄觀)의 사상과 비슷하다. 그러나 징관은 법장의 사사무애(事事無碍)사상을 중시한 데 비해 균여는 이리무애(理理無碍)를 주장한다. 균여의 화엄사상은 고려 중기 ... 을 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제 균여의 〈보현십원가〉 속에도 ‘성속무애(聖俗無碍)’의 사상이 나타나 있다. 그것은 성과 속은 물론 동방과 서방, 남녀나 귀천까지 융합하려는 강력 ... 며 수도생활을 하였다. 균여가 어머니를 만나러 집에 돌아온 날, 세살 위의 누이 수명(秀明)에게 보현(普賢)과 관음(觀音)두 지식(知識)의 법문(法門)과 신중(神衆)·천수(千手)의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