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당하고 있었다.高麗時代부터 혈통만을 중시하던 신라의 골품제를 타파하고 보다 광범위한 在地豪族群 을 국가 관료로 등용하는 집권적 양반관료체제를 확립하고자 하였는데, 그 시기 ... (史料)를 기초로 고려 후기(1260-1392)와 조선 초(1392-1400)에 각각 중앙관직을 지낸 인물과 그 중 실권 층에 해당하는 재추직(宰樞職:장관급 요직)을 역임한 사람을 찾 ... 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관직의 특권조선시대의 문·무 관료는 문·무산계를 받게 되어 있었다. 또한 여기에는 文散階, 宗親階, 儀賓階가 포함되어 있었다. 여기서 문산계는 문관이, 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