租界로 구분된다.한반도에 설정된 13개의 租界·居留地 중에서 7개는 日本(4)·中國(3)의 專管租界(居留地)였고 6개는 各國共同租界였다.租界는 그 地基를 외국정부 자체가 일괄해서 ... 없었고 專管租界에만 있었다.한반도에 설정된 租界·居留地 중 Concession으로 분류되는 것은 釜山·元山·仁川·馬山의 日本專管居留地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Settlement였 ... 제8강 開港期 都市1. 開港場과 租界한국은 19세기 후반 문호를 개방하여 외국인의 居住· 通商을 허용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당시의 동양인들에게 있어 외국인들과의 무질서한 雜居生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