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대동사목의 편찬을 통해 양입위출 의 원칙을 지켰다는 점 음성적 관행을 법정화 시켰다는 점 , 지방재정을 재확립 시킨 점 . 첩징과 가징을 금지 하여 백성을 안심시켰다는 점 ... ), 갑술양전 ( 중기 ), 재생청 ( 말기 ) . 효종 실록 – 호서대동법과 호남대동법 ( 연해지역 ) 의 성립 . 광해군 이전 시기 – 사대동의 확산 , 공물작미의 인정광해군 ... . 격탁양청 산림의 진출 강경론자의 사임뜻밖의 행운 호서대동법의 성립 ( 효종 2 년 8 월 24 일 ) 호남대동법 전개 ( 효종 8 년 12 월 4 일 ) 김육의 마지막 상소
. 인조 시절 - 삼도대동법(초기), 갑술양전(중기), 재생청(말기)4. 효종 시절 - 호서대동법과 호남대동법의 성립, 김육의 활약.Ⅶ 소감 및 참고자료Ⅰ. 선정의 취지와 목표,1 ... 를 진다는 원칙 이는 과세요건 법률주의, 과세요건 명확주의 등으로 나타남대동사목의 편찬을 통해 양입위출의 원칙을 지켰다는 점음성적 관행을 법정화 시켰다는 점, 지방재정을 재확립 ... 이 되다.(e) 결국 제안자 이원익이 상소로 삼도대동법이 폐지되다.대동사목의 내용을 재검토하도록 지시한 때부터 폐지되기 까지(인조 3년 2월)경대동반대동으로 변질되었고, 기존에 반대
론자들이 시행세칙을 새롭게 수정, 보완하여 충청도에 다시금 실시하게 되었고, 뒤이어 그 성공적인 결과로 ≪호서대동사목 湖西大同事目≫에 기준하는 대동법이 각 도별로 순조롭게 확대되어 갔 ... 조선후기 대동법(大同法)에 대해서1. 들어가며대동법이란 조선 후기에 공납제(貢納制)를 폐지하고 그에 대신해서 제정·실시한 재정제도이다. 조선 전기 농민이 호역(戶役)으로 부담 ... )의 운영과 함께 1647년(인조 14)부터 수미법(別收法)이 시행되어 이미 대동법의 효과를 대신하고 있었던 때문에 시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대동법의 시행과정조선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