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0)에 김치인(金致仁) 등이 왕의 명령으로 편찬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연원(淵源)으로 한다. 이것을 조선의 22대 왕인 정조(正祖) 6년(1782)에 이만운(李萬運 ... 를 약간 고쳐서 책이 완성될 단계에 가서 또 시임(時任)과 원임 대신(原任大臣)으로 하여금 서로 더불어 교정하게 하였다. 이 책 이름이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이니, 모두 13부문 ... 문헌비고 해제목차Ⅰ. 들어가며Ⅱ. 문헌비고의 편찬Ⅲ. 문헌비고의 체제Ⅳ. 문헌비고의 간행과 배포Ⅴ. 나가며Ⅰ. 들어가며문헌비고(文獻備考)는 조선의 21대 왕인 영조(英祖)46년
앞에서 재주를 선보이려 했던 것을 알 수 있다.(3) 산대잡희山臺는 연희를 위해서 만든 무대로 신라 진흥왕 때 행해진 팔관회에서 산대희의 출현을 볼 수 있다.) 《增補文獻備考》卷 ... , 고각군 20명이 1대가 되어 악귀를 쫓으며 엄숙하게 진행되었다.)《高麗史》卷64, 志18, 禮6, 季冬大儺儀대체로 고려 초의 나례는《당서》에 나와 있는 儺儀를 모방한 것으로 보고 있 ... 여 도무지 조리가 없으므로 다시 400여 명을 쫓아 내었다. (高麗史 卷 64, 志19, 禮7)이상에 나타나듯이 창우·잡기·외관의 유기에 이르기까지 징발당해 나례를 행했으며, 임금